1. 카카오 API

카카오 API 사이트에서 키발급하기를 누른다.
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를 누른다. 뜨는 창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입력하면 끝 😚
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을 클릭하여 쓰여진 정보를 입력하고, 플랫폼 등록을 하면된다.
임시적으로 플랫폼 주소는 http://localhost:3000으로 지정하면 된다.
아래 카카오 지도 가이드를 참고 하면 된다.
[카카오 지도 가이드]
https://apis.map.kakao.com/web/guide/
2. React + TypeScript에서 카카오맵 이용하기
1. 우선 발급 받은 key를 .env파일을 만들어 넣어준다.
env 파일이란?
포트, DB관련 정보, API_KEY등의 환경변수 파일이다. 주로 오픈소스에 올라가면 안되는 것이 존재한다.
반드시 gitignore 에 .env 를 추가해야 한다
최상위 폴더에 .evn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.
REACT_APP_지정한 변수 = 값
으로 입력하여 사용하면 된다.
2. script 태그를 추가해준다.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 src="//dapi.kakao.com/v2/maps/sdk.js?appkey=%REACT_APP_KAKAO_MAP_KEY%&libraries=services&autoload=false"></script>
주로 사용할 것 같아서 public 폴더에 있는 index.html 파일에 추가해주었다.
3. kakao map 관련 코드 넣기
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kakao 에 대한 타입을 명시해 줄 필요가 있다 !
declare global {
interface Window {
kakao: any;
}
}
다음 공식 문서에 있는 코드를 좀 수정 했다.
해당 코드를 넣으면 실행이 잘 된다..!
useEffect(() => {
window.kakao.maps.load(() => {
const container = document.getElementById('map');
const options = {
center: new window.kakao.maps.LatLng(33.450701, 126.570667),
level: 10,
};
const map = new window.kakao.maps.Map(container, options);
});
}, []);
끝 !

전체 코드
import React, { useEffect, useState } from 'react';
declare global {
interface Window {
kakao: any;
}
}
const Main = () => {
useEffect(() => {
window.kakao.maps.load(() => {
const container = document.getElementById('map');
const options = {
center: new window.kakao.maps.LatLng(33.450701, 126.570667),
level: 3,
};
const map = new window.kakao.maps.Map(container, options);
});
}, []);
return (
<>
<div
id="map"
style={{
width: '100vw',
height: '100vh',
}}
></div>
</>
);
};
export default Main;
'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S] TIL , as const ( const assertion ) (0) | 2025.04.22 |
---|---|
[TS] 인터페이스&타입 등등 (0) | 2025.04.22 |
[TS] Any & Unknown (0) | 2025.04.22 |
[TS] TIL, Narrowing (0) | 2025.04.21 |
[TS] TIL, 타입스크립트의 컴파일러 동작 방식 (0) | 2025.04.21 |